Problem_Solving

    [BOJ] 백준 1654 랜선 자르기 / 이분탐색

    💭 문제 이해 영식이가 가지고 있는 K개의 랜선을 N개 이상의 동일한 길이의 선들로 만들기 위해 자를 길이를 찾아야하는 문제이다. 랜선의 길이는 최대 231-1로 완전탐색을 하게 되면 시간초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분탐색을 통해서 무리 없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구현 언어: Python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r = sys.stdin.readline def binary_search(target_cnt: int, lines: list) -> int: result = 0 left = 1 right = max(lines) while left

    [BOJ] 백준 10815 숫자 카드 / 이분탐색

    💭 문제 이해 사실 이분탐색 문제인데, set 자료구조를 사용해서 in 연산자를 쓰면 원소를 찾는데 O(1) 밖에 안걸린다는 점이 너무나 매력적이다. 구현도 엄청 간단하게 하면서 시간도 겁나 빠르다니... 그래서 이번에도 set과 in 연산자를 이용해서 풀었다:) 구현 언어: Python import sys r = sys.stdin.readline def solve(my_cards: set, num_list: list) -> list: result = [] for num in num_list: result.append(1 if num in my_cards else 0) return result n, my_cards = int(r()), set(map(int, r().split())) m, num_list..

    [BOJ] 백준 2805 나무 자르기 / 이분탐색

    💭 문제 이해 자를 수 있는 최소 높이인 1 부터 max(나무의 높이 배열) 사이에서 최소 m미터 길이의 나무를 가져가기 위해 이분탐색을 진행하며 m을 찾아나가는 문제이다. 자른 나무 길이의 합을 구하기 위해 최악의 경우 100만 번의 sum 연산이 log(109) 만큼 반복된다. 이 풀이도 시간 초과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Counter를 사용해서 100만 번의 연산을 감소시켜 시간을 줄이는 풀이를 찾게 되었다. 구현 언어: Python 1. 내 풀이 import sys r = sys.stdin.readline def binary_search(m, trees): answer = 0 left = 1 right = max(trees) while left = mid else 0, trees)) if total_..

    [BOJ] 백준 1920 수 찾기 / 이분탐색

    💭 문제 이해 두 개의 정수 리스트 a, b가 주어지고, b의 모든 원소를 비교하며 a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1과 0으로 출력하는 문제이다. 문제 자체는 간단하지만 완전탐색을 수행하면 105 * 105 = 1010 으로 시간 초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 문제는 두 가지의 해결 방법이 있다. 1. 이분 탐색을 통해 리스트 b에서 원소를 탐색하는 시간을 log(n)으로 줄인다. 2. set()의 in 연산자는 O(1)의 시간이 걸린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리스트 b를 set으로 입력받은 후, in 연산자로 탐색한다. https://twpower.github.io/120-python-in-operator-time-complexity 구현 언어: Python 1. Binary Search import sys r = ..

    [BOJ] 백준 9205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 BFS

    💭 문제 이해 맨해튼 거리로 계산해서 1000미터 이내에 편의점이 있다면 맥주를 20병으로 갱신할 수 있다. 편의점 좌표 또는 페스티벌 좌표가 들어있는 리스트를 탐색해서 1000미터 내에 있다면 queue에 넣고, 만일 그 좌표가 페스티벌 좌표라면 도착했다는 결과로 "happy"를 출력하고 종료한다. BFS 연산을 위한 queue가 비어서 while 문이 종료되었다면, 가진 맥주 20병으로는 도달할 수 없다는 뜻으로 "sad"를 출력하게 된다. 구현 언어: Python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r = sys.stdin.readline def distance(n_x, n_y, x, y): return abs(n_x - x) + abs(n_y - y) def ..

    [BOJ] 백준 2573 빙산 / BFS

    💭 문제 이해 한 덩어리의 빙산이 입력으로 주어진다. 매년, 빙산의 사방으로 접한 바다면(0)의 개수만큼 녹아내린다. 해마다 녹아내리다보면 어느 시점에 빙산이 끊어지며 덩어리가 나뉘게 된다. 예제 입력의 경우 2년이 지나면(두 번 녹으면) 덩어리가 세 덩어리로 나누어진다. 몇 년이 지나면 빙산이 두 덩어리 이상으로 나누어지는지 계산하는 문제이다. 1. 빙산을 녹인다. 2. 너비 우선 탐색을 하며 덩어리 개수를 세본다. 3. 두 덩어리 이상으로 나뉘거나, 더 이상 남은 빙산이 없다면 그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내가 놓쳤던 포인트는 빙산을 현재 기준으로 녹이면 잘못 계산한다는 점이다. 무슨 말이냐면,, - 먼저 (1, 1) 위치의 높이 2인 빙산은 왼쪽과 위쪽이 바닷물이므로 1년이 지나면 모두 녹아 0..

    [BOJ] 백준 2468 안전 영역 / BFS

    💭 문제 이해 2차원 배열에 각 원소는 그 지역의 높이를 담고 있다. 물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 지역은 잠기게 되고, 잠기지 않은 연속된 지역을 안전영역이라 한다. 물 높이의 변화에 따라 안전영역의 개수도 변하게 되는데, 이 안전영역 개수의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2차원 배열의 최대 크기는 100*100으로 전수조사를 해도 10000번 밖에 되지 않는다. 1. 현재 전체 영역의 최소 높이~최대 높이 범위 내에서 탐색을 시작한다. 2. 전체 영역에서 (0, 0) 위치부터 출발해서 현재 물 높이 기준보다 높고, 방문한 적 없는 곳을 만나면, 거기서부터 너비 우선 탐색을 수행하며 방문체크를 한다. 그리고 현재 물 높이에서의 안전영역 개수를 1 증가시킨다. 3. 모든 영역을 탐색했으면 현재 물 높이 기준..

    [BOJ] 백준 5014 스타트링크 / BFS

    💭 문제 이해 강호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S층에서 G층으로 가기 위한 최소 이동 횟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의 특징은 한 번에 하나의 버튼만 눌러 Up 또는 Down 크기만큼만 이동할 수 있다. 너비 우선 탐색을 수행하여 문제를 풀면 목적지까지 최소 횟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visited 배열을 대신하여 cnt 배열을 사용했다. cnt 배열은 기본값이 -1로 초기화되어있고, 출발선은 0으로 설정을 한다. Up 또는 Down 선택을 큐에 넣을 때마다 cnt 배열에 그 위치값을 이전 위치 값 +1로 설정한다. 최종 목적지인 g까지 도착하는 최소 이동 횟수가 cnt[g]에 구해지게 된다. 구현 언어: Pytho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ve(): global..

    [BOJ] 백준 13549 숨바꼭질 3 / BFS

    💭 문제 이해 수빈이는 동시에 -1, +1, *2 라는 세 가지의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 이동하게 된다. 좌우로 이동하는 두 가지의 선택은 동시에 1초 씩 증가하지만 이 문제는 다른 숨바꼭질 문제와 다르게 *2로 이동하는 선택은 시간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너비 우선 탐색을 선택했다. 구현 언어: Pytho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ve(): global n, k, sec queue = deque() # 시작점 세팅 queue.append(n) sec[n] = 0 while queue: now = queue.popleft() # 순간이동: 시간 증가 안함 if 0

    [BOJ] 백준 13913 숨바꼭질 4 / BFS

    💭 문제 이해 수빈이는 동시에 -1, +1, *2 라는 세 가지의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세 가지의 선택이 동시에 1초 씩 증가하므로 너비 우선 탐색을 선택했다. 가장 빠른 시간을 구하고 경로를 출력해야한다. 현재 위치 바로 직전 번호를 따로 저장해두고, 역추적하며 문자열로 저장해 출력했다. 구현 언어: Pytho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ve(): global n, k, sec, route queue = deque() # 시작점 세팅 queue.append(n) sec[n] = 0 route[n] = n while queue: now = queue.popleft() for next in (now - 1, now + 1, now * 2)..